본문 바로가기
codingtest

[programmers] 덧칠하기

by 안자두 2023. 4. 3.

📝 [Lv1] 덧칠하기

👀 문제 설명

어느 학교에 페인트가 칠해진 길이가 n미터인 벽이 있습니다. 벽에 동아리 · 학회 홍보나 회사 채용 공고 포스터 등을 게시하기 위해 테이프로 붙였다가 철거할 때 떼는 일이 많고 그 과정에서 페인트가 벗겨지곤 합니다. 페인트가 벗겨진 벽이 보기 흉해져 학교는 벽에 페인트를 덧칠하기로 했습니다.

넓은 벽 전체에 페인트를 새로 칠하는 대신, 구역을 나누어 일부만 페인트를 새로 칠 함으로써 예산을 아끼려 합니다. 이를 위해 벽을 1미터 길이의 구역 n개로 나누고, 각 구역에 왼쪽부터 순서대로 1번부터 n번까지 번호를 붙였습니다. 그리고 페인트를 다시 칠해야 할 구역들을 정했습니다.

벽에 페인트를 칠하는 롤러의 길이는 m미터이고, 롤러로 벽에 페인트를 한 번 칠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롤러가 벽에서 벗어나면 안 됩니다.
  • 구역의 일부분만 포함되도록 칠하면 안 됩니다.

즉, 롤러의 좌우측 끝을 구역의 경계선 혹은 벽의 좌우측 끝부분에 맞춘 후 롤러를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벽을 칠합니다. 현재 페인트를 칠하는 구역들을 완전히 칠한 후 벽에서 롤러를 떼며, 이를 벽을 한 번 칠했다고 정의합니다.

한 구역에 페인트를 여러 번 칠해도 되고 다시 칠해야 할 구역이 아닌 곳에 페인트를 칠해도 되지만 다시 칠하기로 정한 구역은 적어도 한 번 페인트칠을 해야 합니다. 예산을 아끼기 위해 다시 칠할 구역을 정했듯 마찬가지로 롤러로 페인트칠을 하는 횟수를 최소화하려고 합니다.

정수 n, m과 다시 페인트를 칠하기로 정한 구역들의 번호가 담긴 정수 배열 sectio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롤러로 페인트칠해야 하는 최소 횟수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 제한 사항

  • 1 ≤ m  n ≤ 100,000
  • 1 ≤ section의 길이 ≤ n
    • 1 ≤ section의 원소 ≤ n
    • section의 원소는 페인트를 다시 칠해야 하는 구역의 번호입니다.
    • section에서 같은 원소가 두 번 이상 나타나지 않습니다.
    • section의 원소는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 입출력 예

n m section result
8 4 [2, 3, 6] 2
5 4 [1, 3] 1
4 1 [1, 2, 3, 4] 4

 

✨ 풀이 설명

문제만 봤을 땐 조금 복잡할 것 같았지만 풀이를 생각해 보니 그렇게 어려운 문제는 아니었다. (일단 LV1이기도 하고 ㅎㅎ)

한 번 칠할 때, 무조건 시작 부분부터 m 만큼을 칠해야 한다. 만약 m이 4이고 시작한 부분이 2라면, 2부터 2, 3, 4, 5는 한 번에 칠해야 한다는 말이다.
즉, 그 사이에 칠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2를 칠할 때 같이 칠해진다는 말이다.

이를 이용해서, 새로 칠해줄 위치를 구해 몇번 칠하면 될지를 계산해 주었다.
처음 시작할 위치, section의 가장 처음 위치를 배열에서 빼 start라고 초기화해주었다.
그다음, 새로 칠해줄 위치만 새로 반환해 주기 위해 section을 filter()를 이용해 반복문을 돌려주었다. 마지막에 1을 더한 이유는 처음 시작한 위치는 배열에서 빠져있기 때문이다.

filter()에서 현재 칠해야 할 위치가 마지막 칠한 위치(=== start)부터 m 만큼 사이에 없다면, 새로 칠해야 한다는 뜻으로 start를 해당 번호로 재할당시켜주었다. 
(start = sec) 이렇게 괄호 연산자를 사용한 이유는, 할당문 자체는 값으로 취급할 수 없기 때문에, ()로 식을 실행시켜 값으로 취급해 주었다. 
만약, sec => sec >= start + m && console.log(start = sec) 이런 코드를 작성한다고 하면, console에는 새로 칠해야 하는 수, sec를 할당한 start의 값이 출력될 것이다.
또한, filter()는 true 값을 반환할 때만 해당 인덱스의 값을 반환하므로, true인 값을 반환할 필요도 있었다.

이를 정리한 코드는 아래에 !

 

🕵️‍♂️ 코드

function solution(n, m, section) {
  let start = section.shift();

  return section.filter(sec => sec >= start + m && (start = sec)).length + 1;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