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dingtest

[programmers] 마법의 엘리베이터

by 안자두 2023. 4. 30.

📝 [Lv2] 마법의 엘리베이터

👀 문제 설명

마법의 세계에 사는 민수는 아주 높은 탑에 살고 있습니다. 탑이 너무 높아서 걸어 다니기 힘든 민수는 마법의 엘리베이터를 만들었습니다. 마법의 엘리베이터의 버튼은 특별합니다. 마법의 엘리베이터에는 -1, +1, -10, +10, -100, +100 등과 같이 절댓값이 10c (c ≥ 0 인 정수) 형태인 정수들이 적힌 버튼이 있습니다. 마법의 엘리베이터의 버튼을 누르면 현재 층 수에 버튼에 적혀 있는 값을 더한 층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단, 엘리베이터가 위치해 있는 층과 버튼의 값을 더한 결과가 0보다 작으면 엘리베이터는 움직이지 않습니다. 민수의 세계에서는 0층이 가장 아래층이며 엘리베이터는 현재 민수가 있는 층에 있습니다.

마법의 엘리베이터를 움직이기 위해서 버튼 한 번당 마법의 돌 한 개를 사용하게 됩니다.예를 들어, 16층에 있는 민수가 0층으로 가려면 -1이 적힌 버튼을 6번, -10이 적힌 버튼을 1번 눌러 마법의 돌 7개를 소모하여 0층으로 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1이 적힌 버튼을 4번, -10이 적힌 버튼 2번을 누르면 마법의 돌 6개를 소모하여 0층으로 갈 수 있습니다.

마법의 돌을 아끼기 위해 민수는 항상 최소한의 버튼을 눌러서 이동하려고 합니다. 민수가 어떤 층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0층으로 내려가는데 필요한 마법의 돌의 최소 개수를 알고 싶습니다. 민수와 마법의 엘리베이터가 있는 층을 나타내는 정수 storey 가 주어졌을 때, 0층으로 가기 위해 필요한 마법의 돌의 최소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 제한 사항

  • 1 ≤ storey ≤ 100,000,000

 

💻 입출력 예

storey result
16 6
2554 16

 

✨ 풀이 설명

층에 따라 근접한 층이 더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다. 만약 16층의 경우에는 10층으로 1번 이동해서 6번을 올라가는 것보다 20층으로 2번 이동해서 4번 내려가는 것이 더 적게 이동할 수 있다. 73층의 경우에는 70층으로 7번 이동해서 3번 올라가는 것보다 100층으로 1번 이동한 후, 80층으로 2번 내려가고, 7번 내려가는 것이 더 빠르다.

이렇듯, 층수에 따라 가는 방법이 달라지게 된다. 가장 큰 기준은 반올림 여부이다.
반올림을 할 두 번째로 큰 자릿수(12345에서 2의 위치)가 5보다 클 경우에는 반올림을 한 수에서 내려오는 것이 더 빠르고, 5보다 작을 경우에는 해당 자릿수까지 올라가는 것이 더 빠르다.

가장 헷갈렸던 부분은 두 번째로 큰 자릿수가 5일 경우이다.
5이면서 앞자리가 5 이상일 경우에는 위에서 내려오는 것이 더 빠르고, 5 미만일 경우에는 아래서 올라오는 것이 빠르다.
45와 65로 예를 들어 보면,
45의 경우, 10층 4회 + 1층 5회 < 10층 5회 + -1층 5회.
65의 경우, 10층 6회 + 5층 5회 > 10층 7회(=> 100층 1회 + -10층 3회로 바꿀 수 있다) + -5층 5회
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가장 큰 자릿수가 5 미만일 경우에는 자릿수가 같은 숫자에서 계산하는 것이 빠르고 5 이상일 경우에는 한 자리 큰 자릿수에서 내려오는 것이 더 빠르다.
예를 들어 앞자리가 30과 70의 경우,
30은 10층 3회 < 100층 1회 + -10층 7회
70은 10층 7회 > 100층 1회 + -10층 3회
이기 때문이다.

이를 정리해서, 남은 층수를 storey에 넣어주며 반복하였다.

 

 

🕵️‍♂️ 코드

function solution(storey) {
  let answer = 0;
 
  while (storey) {
    const len = String(storey).length - 1;
    if (!len) break;
 
    const [fir, sec] = [...storey + ''].slice(0, 2).map(Number);
 
    if (sec > 5 || sec === 5 && fir >= 5) {
      answer += fir < 5 ? fir + 1 : 10 - fir;
      storey = (fir + 1) * 10 ** len - storey;
    }
    else {
      answer += fir <= 5 ? fir : 10 - fir + 1;
      storey -= fir * 10 ** len;
    }
  }
 
  return answer + storey;
}

 

728x90